■ 박성준 / LG경제연구원<br /><br />[앵커] <br />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 비중은 줄고 금융자산의 비중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금융자산 가운데서도 현금과 예금 같은 안전자산의 비중이 4분의 3을 차지했는데요. LG경제연구원이 한국은행 자료 등을 분석해 낸 보고서를 함께 보겠습니다.<br /><br />먼저 가계와 비영리단체가 보유한 자산에서 부동산을 포함한 비금융자산 비중은 2008년 말 70.5%에서 지난해 말 63%의 수준까지 하락했습니다. 반면 금융자산 비중은 2008년 말 29.5%에서 꾸준히 상승해 지난해 말 36.9%로 높아졌습니다. 금융자산 가운데서도 현금과 예금 등의 안전자산의 비중이2007년 65.2%에서 지난해 74.2%까지 올라 안전자산을 중심으로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보험과 연금이 22.7%에서 지난해 31.1%로 대폭 상승했습니다. 반면 주식과 채권과 같은 투자자산 비중은34.1%에서 25%까지 낮아졌습니다.<br /><br />또 하나 재미있는 결과는 거의 전 연령대에서 금융자산이 증가하고 있지만 30대 후반 가구주에서는 소폭 감소했다는 점인데요.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, 이 보고서를 낸 LG경제 연구원 박성준 연구원 전화로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.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십니까, 박성준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 <br />30대 후반 가구주의 금융자산이 줄어든 점, 이건 왜 그렇습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우선 금융자산의 양 자체가 줄어든 것은 아닙니다. 통계청의 가계 도면 복지조사를 바탕으로 추정한 결과30대 후반 가구주의 금융자산은 소폭 증가했습니다. 다만 거주주택을 중심으로 부동산자산이 크게 증가해서 금융자산의 양은 소폭 증가했지만 비중은 감소했습니다. <br /><br />30대 후반 가구주 가구에서 2013년 이후 3년간 평균적으로 가구당 약 1800만 원 만큼의 거주 목적 주택이 증가했는데요. 반면에 금융자산은 가구당 300만 원남짓 증가하면서 부동산 증가폭에 비해 작았습니다. <br /><br />이러한 현상은 전세계 경제적 부담이 상대적으로 커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는데요. 실제로 30대 후반의 전세 수요 일부가 매매수요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2012년 전세로 살던 30대 후반 가구 중 대부분인 2013년에 자가주택으로 전환한 비중이 약 7.5%였는데요. 2013년에서 2015년으로 해가 바뀔 때는 이 비중이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부동산 등의 투자가 늘었다는 건데 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490_2016080316343953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